대학원 생활을 하다 보면 학비 외에도 생활비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. 연구에 필요한 교재비, 교통비, 주거비, 생활비까지 더해지면 매달 고정 지출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이런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되는 제도가 바로 한국장학재단 대학원생 생활비 대출입니다.
2025년 기준으로 생활비 대출은 연 1.7% 초저금리로 제공되며, 학기당 최대 200만 원,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대학원생 생활비 대출의 대상, 조건, 신청방법을 정리합니다.
▼ 대학원생 생활비 대출 신청방법 조건 ▼
대학원생 생활비 대출 신청방법 총정리
대학원생 생활비 대출은 연 1.7%의 초저금리로 제공되고 있으며, 학기당 최대 200만 원,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오늘은 2025년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, 대학원생 생활비 대
vnews.kr
1. 대학원생 생활비 대출이란?
- 주관 기관: 한국장학재단(KOSAF)
- 금리: 연 1.7% (일반 상환 = 고정, 취업 후 상환 = 변동)
- 한도: 학기당 최대 200만 원, 연간 400만 원
- 상환 방식: 일반 상환(거치 후 분할), 취업 후 상환(소득 발생 시 자동 상환)
대출금은 등록금과 달리 학교로 직접 납부되지 않고 본인 계좌로 지급되므로, 실제 생활비 용도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
대학원생 생활비대출 세부내용 확인
2. 대상 및 조건
연령 요건 | 만 40세 이하 | 만 55세 이하 (※ 55세 이전 입학 후 학업 유지 시 만 59세까지 가능) |
소득 요건 | 학자금 지원 4구간 이내 | 제한 없음 |
대상 학교 | 국내 대학원 (재단 협약교, 해외·학점은행제 제외) | 동일 |
성적/학점 | 대부분 완화, 대학별 상이 | 대부분 완화, 대학별 상이 |
금리(2025-2학기) | 연 1.7% 변동 | 연 1.7% 고정 |
생활비 한도 | 학기당 200만 원 (연 400만 원) | 동일 |
우선대출 | 등록 전 최대 50만 원 가능 | 동일 |
※ 대학원생은 학부생과 달리 성적·이수학점 요건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단, 일부 대학은 별도의 기준을 적용하기도 하므로 반드시 소속 대학 장학팀 공지를 확인해야 합니다.
3. 신청 기간 (2025년 2학기 기준)
- 신청 기간: 2025년 7월 2일(수) ~ 11월 18일(화) 18:00
- 실행 마감: 2025년 11월 19일(수) 17:00까지
- 특징: 평일뿐 아니라 주말·공휴일에도 신청 가능
- 우선대출 제도: 등록 전이라도 최대 50만 원까지 미리 대출 가능
4. 신청 방법
- 사전 준비
-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 준비
-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/앱 회원가입
- 가구원 동의(미혼은 부모, 기혼은 배우자)
- 온라인 금융교육 이수
- 신청 절차
-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로그인
- 학자금대출 → 생활비 대출 선택
- 개인정보 및 조건 입력, 필요 서류 제출
- 심사 승인 후 본인이 직접 대출 실행(지급 요청) 버튼 클릭
대학원생 생활비대출 세부내용 확인
5. 상환 방식
- 일반 상환 대출
- 금리: 연 1.7% 고정
- 거치기간(최대 10년) + 분할상환(최대 10년)
- 상환 방법 선택 가능 (원리금균등, 원금균등 등)
- 취업 후 상환 대출
- 금리: 연 1.7% 변동
- 재학 중 상환 유예, 소득 발생 시 상환 개시
- 2025년 기준 상환기준소득: 연 2,851만 원 초과 시 의무 상환
6. 유의사항
- 선착순 아님: 신청 기간 내에만 하면 가능
- 가구원 동의 필수: 미혼은 부모, 기혼은 배우자
- 휴학·자퇴자는 제한: 생활비 대출 불가
- 중도상환수수료 없음: 원할 때 자유롭게 상환 가능
- 지자체 이자지원 활용: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는 이자 전액 지원
마무리
2025년 대학원생 생활비 대출은 초저금리(연 1.7%)로, 학기당 200만 원,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. 신청은 한국장학재단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가능하며, 필수 절차(가구원 동의, 금융교육, 실행 버튼 클릭)를 반드시 완료해야 합니다.
대학원 생활비가 부담된다면 이번 학기에 꼭 신청해보시길 권장합니다.